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신청 방법·지원금·사용처·잔액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국민행복카드는 임신·출산, 육아, 에너지, 돌봄 등 다양한 정부 복지 바우처를 한 장의 카드로 받을 수 있게 해주는 대표적인 통합 복지카드입니다. 카드 한 장으로 여러 지원금을 신청하고, 전국 지정된 병원·약국·마트 등에서 바로 쓸 수 있어 많은 분들이 이용 중입니다.
Contents
국민행복카드란
국민행복카드는 정부가 지정한 복지 바우처(임신·출산 진료비,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, 기저귀·조제분유, 에너지바우처 등)를 신용/체크카드 형태로 제공하는 카드입니다.
- 한 장의 카드로 여러 복지 지원금(바우처) 신청·사용 가능
- 삼성, KB국민, 롯데, 신한, BC 등 주요 카드사에서 발급
- 신용카드, 체크카드, 바우처 전용카드 중 선택 가능
- 정부 지원금은 카드에 자동 적립, 지정된 사용처에서만 결제 가능
- 카드사별로 추가 할인·포인트 적립 등 부가 혜택 제공
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신청 자격과 필수 서류
1. 지원 자격(대표 예시)
- 임신·출산 진료비 바우처: 건강보험 가입 임산부(임신 확인서 필요)
-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바우처: 소득 기준 충족 산모(중위소득 150% 이하, 임신확인서 및 건강보험 자격확인 필요)
- 기저귀·조제분유 바우처: 0~24개월 영아, 중위소득 80% 이하 가구(가족관계증명서, 소득증명)
- 에너지바우처: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, 차상위계층(수급자 증명서)
- 첫만남이용권: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 아동 가구(주민등록등본)
바우처 서비스별 지원대상
바우처 서비스 | 지원대상 |
---|---|
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|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진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자 |
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 | 만 19세 이하 산모로 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 신청자 |
사회서비스사업 13종 | 노인, 장애인, 출산가정 등 사업별 상이 |
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 | 중위소득 40%(최저생계비 100%) 이하 저소득층 영아(0~24개월) 가구 |
에너지바우처 지원 | “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”급여 수급자로서 노인, 영유아, 장애인, 임산부, 중증/희귀/중증난치질환자, 한부모가족, 소년소녀가정 (가정위탁보호아동) 포함 세대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세대 |
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| 중위소득 120% 이하의 양육공백이 발생하는 가정 (취업한부모, 맞벌이가정, 다자녀 가정 등) |
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| 생계· 의료· 주거· 교육 급여 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에 해당하는 9세~24세 여성청소년 |
보육료 지원 |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~5세 |
유아학비 지원 | 국·공 ·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3~5세 |
첫만남이용권 지원 |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 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지원 |
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| 우울,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으로 심리상담이 필요한 자 |
일상돌봄 서비스 | 일상생활에 돌봄이 필요한 청・중장년(19~64세) 또는 가족돌봄청년(9~39세) |
긴급돌봄 지원 | 주 돌봄자의 갑작스러운 부재, 질병, 부상 등으로 긴급하고 일시적 돌봄 지원이 필요하나 기존 서비스로 돌봄을 받기 어려운 국민 |
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| 최중증통합돌봄서비스 대상자 선정기준 점수가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자 |
2. 필수 서류
- 공통: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등)
- 임신·출산: 임신확인서(산부인과 발급)
- 기저귀·조제분유: 가족관계증명서, 소득증명서
- 에너지바우처: 수급자 증명서
- 아동 관련: 주민등록등본, 가족관계증명서
온라인/방문 신청 절차 (삼성·KB·롯데 카드사별)
1. 온라인 신청 방법
- 카드사 홈페이지 접속
- 삼성카드: samsungcard.com
- KB국민카드: card.kbcard.com
- 롯데카드: lottecard.co.kr
- 국민행복카드 메뉴 선택
- 각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‘국민행복카드’ 또는 ‘바우처카드’ 메뉴 클릭
- 신청서 작성
- 개인정보 입력(이름, 연락처, 주소 등)
- 신용/체크/바우처 전용카드 중 선택
- 바우처 서비스(임신·출산, 기저귀 등) 선택
- 본인인증 및 서류 제출
- 휴대폰 인증 또는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
- 필요 서류(임신확인서, 가족관계증명서 등) 파일 첨부
- 신청 완료 및 카드 수령
- 신청 후 5~7일 내 카드 수령(직배송 또는 영업점 수령)
카드사 | BC카드 | 롯데카드 | 삼성카드 | KB국민카드 | 신한카드 |
---|---|---|---|---|---|
방문신청 | 부산은행, iM뱅크(구.대구은행), 하나은행, IBK기업은행, 제주은행, 광주은행, 경남은행, 우체국, NH농협, 우리은행, 수협은행, 신협은행 | 롯데카드 전국 영업점 및 롯데 백화점 | 삼성카드사 전국 영업점 및 신세계,백화점 | KB국민카드 전국 영업점 및 KB국민은행, 전북은행 전 영업점 | 신한카드 전국 영업점 및 신한은행 |
전화신청 | 1899-4651 | 1899-4282 | 1566-3336 | 1599-7900 | 1544-8868 |
바우처 서비스별 신청하기
국가 바우처는 그 혜택과 운영기관이 다양한 만큼, 신청방법에도 차이가 있습니다.
바우처 서비스 | 신청방법 |
---|---|
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|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또는 카드 영업점 방문 BC/삼성카드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|
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 |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을 이용한 온라인 신청 |
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|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·군·구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복지로 온라인 신청 |
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 | 영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·군·구 보건소에 방문하여 신청 |
에너지바우처 지원 |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동행정복지센터 방문하여 신청 복지로 온라인 신청 |
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| 정부지원 신청 : 주소지 관할 읍면동행정복지센터 방문/ 복지로 온라인 신청 아이돌봄 서비스 신청 : 아이돌봄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작성 |
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| 청소년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면동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또는 복지로 온라인 신청 |
2. 방문 신청 방법
- 카드사 영업점, 읍면동 주민센터, 국민행복카드 지정 병·의원 등 방문
- 신분증과 필요 서류 지참, 현장 신청서 작성 후 접수
- 카드 수령(5~7일 소요, 현장 수령 가능 지점은 카드사별 상이)
바우처 지원금액과 사용처
1. 바우처별 지원금
- 임신·출산 진료비: 1회 100만 원(다태아 140만 원)
-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: 45만~162만 원(소득·태아수별 차등)
- 기저귀: 월 7만 원(최대 24개월)
- 조제분유: 월 16만 원(최대 24개월)
- 에너지바우처: 1인 40.7만 원~4인 이상 102만 원(연 1회)
- 첫만남이용권: 1인당 200만 원(일시 지급)
바우처 서비스별 혜택
바우처 서비스 | 지원혜택 |
---|---|
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| 임신 1회당 60만원 이용권(국민행복카드, 고운맘카드) 지원 (다태아 임산부는 100만원 지원) |
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 | 임신 1회 당 120만원 범위 내. 임신부가 산부인과 병·의원에서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하여 진료 받은 급여 또는 비급여 의료비 |
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| 소득분위 및 태아수에 따라 450,000원부터 ~ 최대 1,620,000원 지원 |
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 | 기저귀 지원 : 월 64,000원 기저귀+조제분유 지원 : 월 150,000원 ※ `22년 하반기 바우처 단가인상으로 인해 `22.8.1 이후 생성분은 기저귀(70,000원) 및 조제분유(90,000원) 적용 |
에너지바우처 지원 | 1인 세대 : 295,200원 2인 세대 : 407,500원 3인 세대 : 532,700원 4인 이상 세대: 701,300원 * 전체 사용기간(’25. 7. 1. ~ ’26. 5. 25.) 동안 사용 가능 [다른 동절기 에너지이용권 지원 시] 1인 세대 : 40,700원 2인 세대 : 58,800원 3인 세대 : 75,800원 4인 이상 세대: 102,000원 * 하절기 사용기간(’25. 7. 1. ~ ’25. 9. 30.) 동안만 사용 가능 |
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| 영아종일제 : 소득유형에 따라 월 36 ~ 91만원 지원 시간제 : 소득유형에 따라 시간당 1,625 ~ 4,875원 지원 |
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|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구매비용 연 최대 168,000원 지원 – 2025년 바우처 단가인상 |
첫만남이용권 지원 |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 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지원 |
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| 전문심리상담 서비스 총 8회 제공 |
일상돌봄 서비스 | 기본 돌봄 서비스 12~72시간, 특화서비스 병원동행, 심리지원 등 |
긴급돌봄 지원 | 기본돌봄 서비스 72시간, 방문목욕서비스 |
최중중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| 주간 그룹 1:1 돌봄지원 월~금, (주간) 09:00~18:00 일 최대 8시간, 월 최대 176시간 * 주말・공휴일은 휴무 |
2. 사용 가능한 곳
- 병원/약국: 산부인과, 소아과, 한의원, 지정 약국
- 마트/유통업체: 이마트, 홈플러스, 롯데마트, 온라인몰(일부 바우처)
- 기저귀·분유: 지정 편의점, 복지용구점, 온라인몰(쿠팡, G마켓 등)
- 에너지: 전기·가스·지역난방 요금 납부(한국전력, 도시가스사)
- 기타: 산후조리원, 산모도우미 업체 등
바우처 서비스 | 사용처 |
---|---|
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| 지정요양기관 폐지(2019.1.1.)로 모든 요양기관에서 사용 가능 |
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 | 지정요양기관 폐지(2019.1.1.)로 모든 요양기관에서 사용 가능 |
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| 「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」 제16조 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에 따라 등록한 제공기관 |
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 | (오프라인)중소기업청에서 운영하는 나들가게(www.nadle.kr) (온라인)우체국쇼핑몰(mall.epost.go.kr) |
에너지바우처 지원 | 지정된 에너지 판매처(전기, 도시가스, 지역난방, 등유, 연탄, LPG 등) |
아이돌봄 지원 | (온라인) 아이돌봄 서비스 홈페이지(www.idolbom.go.kr) |
첫만남이용권 지원 |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 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지원 |
잔액 조회·유효기간·주의사항
1. 잔액 조회 방법
- 공식 사이트: voucher.go.kr 로그인 → ‘마이페이지’ → ‘바우처 잔액조회’
- 카드사 앱/홈페이지: 삼성, KB, 롯데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‘잔액조회’ 메뉴 이용
- ARS: 카드사 고객센터(삼성 1566-3336, KB 1599-7900, 롯데 1899-4282 등) 전화 후 안내에 따라 확인
2. 유효기간
- 임신·출산 진료비: 출산예정일 이후 60일까지 사용 가능(미사용분 자동 소멸)
- 기저귀·조제분유: 매월 지급, 해당 월 내 미사용분 소멸
- 에너지바우처: 연 1회 지급, 해당 연도 내 사용
- 첫만남이용권: 지급일로부터 1년(12개월) 내 사용
3. 주의사항
- 본인만 사용 가능, 타인 양도·판매 불가
- 지정된 사용처 외 결제 불가, 현금화 불가
- 카드 분실 시 즉시 카드사에 신고 후 재발급, 분실 기간 내 바우처는 복구 불가
- 부정 사용(타인 대리결제, 현금화 등) 적발 시 지원금 환수 및 형사처벌
- 유효기간 내 미사용분은 자동 소멸, 재지급 불가
AQ
A. 아니요. 카드를 발급받은 뒤, voucher.go.kr이나 주민센터 등에서 바우처별로 별도 신청해야 합니다.
A. 네. 카드사별로 자체 할인, 포인트 적립 등 부가 혜택이 다르니 비교 후 선택하세요.
A. 유효기간이 지나면 자동 소멸되며, 남은 금액은 환불·이월되지 않습니다.
정리
국민행복카드는 복잡한 복지 지원금을 한 장의 카드로 통합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입니다. 자격 조건과 바우처별 신청 서류를 미리 준비하고, 카드사별로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을 통해 쉽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바우처는 반드시 지정된 사용처에서만 사용해야 하며, 잔액과 유효기간을 수시로 확인해 불이익이 없도록 주의하세요. 신청과 사용에 궁금한 점은 voucher.go.kr 공식 사이트와 카드사 고객센터에서 언제든 확인할 수 있습니다.